Born in 1927, Cheongju,South Korea
 Lived in 1927~2011 

Chung Chang-Sup, a first-generation master of Post-war Korean contemporary art, pursued a sense of beauty and identity in Korean art through the use of abstractness and Hanji paper. Starting with the 'Informel' art movement and progressing into the 'Monochrome' movement, he steadfastly incorporated Hanji paper into his artistic process. His artworks resonate with echoes of Korean tradition while establishing his unique artistic domain. He perpetually explored the harmonious combination of heterogeneous elements, bridging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the East and the West, and the intangible and the tangible. In his art, shapeless frames and hues of yellow, black, and adzuki bean gruel create a profound sense that many years have passed, enveloping viewers in absolute silence and captivation. The Korean traditional mulberry paper work developed from the 1970’s series ’歸’ which means ʻ Return’, to a series which consists of tapping and shaping of soaked mulberry paper onto a canvas, which was called ʻ楮’ meaning ʻTak’, in the 1980’s. Following the 1990’s such a series developed further into ʻ默考’ which means ʻMeditation’. Chung exhibited his works in prominent international art events and exhibitions including the Paris Biennale (1961) and Bienal de São Paulo (1965), and took part in several major annual exhibitions on Korean art history. In 2010, there was a large-scale retrospective at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in Gwacheon. Currently, his works are in the collections of reputable art institutions, such as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Korea, Seoul Museum of Art, Leeum Museum of Art, Tokyo Metropolitan Art Museum, M+ in Hong Kong, and Guggenheim Abu Dhabi. 

 

정창섭 (b. 1927 - 2011)은 해방 후 한국에서 교육받은 한국 현대 미술의 제1세대 화가이다. 1953년 제2회 국전에서 특선하며 화단에 등단한 이후, 앵포르멜, 모노크롬을 거쳐 닥종이를 사용한 작품들을 통해 독자적인 예술 세계를 구축하며 현대 미술 역사에 한 획을 그었다. 1970년대 중반 한국인의 보편적인 민족성과 정신성을 상징하는 재료인 한지의 원료 닥을 주재료로 다루기 시작하면서 전환점을 맞이한 정창섭은, 닥이라는 물질이 지닌 고유의 생명력을 이끌어내기 위해서 자신을 비우고 잊는 침묵과 무명의 상태를 전제로 작업을 한다. 평생토록 일관되게 전통과 현대, 동양과 서양, 정신과 물질 등 이질적 개념이 합치되는 ‘물아합일物我合一’의 세계를 추구했으며, 한국의 전통적 미의식과 추상이라는 미술 형식이 만나는 접점을 실험하여 우리 민족 고유의 아름다움을 머금은 한국적 추상 회화의 성립에 기여하였다. 작가는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교수를 지냈으며 대한민국미술전람회 심사위원회 위원을 맡기도 했다. 표갤러리 서울, 조현화랑, 갤러리현대, 국립현대미술관 등에서 개인전을 가졌으며,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서울시립북서울미술관, 서울미술관, 호암갤러리, 뮤지엄산 등에서 단체전에 참가했다. 1980년 국전 초대작가상, 87년에는 제13회 한국현대미술제 중앙문화대상을 받았고 1933년에는 대한민국국민훈장 목련장을 받았다. 주 소장처는 국립현대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 삼성미술관 리움, 도쿄도미술관, 히로시마미술관, 홍콩 M+ 시각문화미술관, 아부다비 구겐하임미술관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