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존하는 최고의 색채화가로 불리는 클로드 비알라의 개인전이 7월 11일부터 8월 18일까지 조현화랑_서울에서 열린다. 2005년 개인전을 통해 작가와 인연을 맺고, 이후 2017년과 2023년에 대규모 회고전 및 최초의 한지 작업을 소개한 조현화랑은 이번 개인전을 통해 작가의 가장 최근작을 포함한 10점의 작품을 선보인다. 

클로드 비알라의 예술 작업에는 존재 속에서 지속하는 것 외에 다른 계획이 없다. 끊임없이 지금-여기를 표현하는 비알라의 작품은 스펀지, 콩 또는 뼈조각에 비유되는 보편적 형상을 나열하며 구성된다. 물감의 색조와 톤이 다양한 소재의 표면에 스며들고 퍼져 나가는 과정을 통해 우연한 만남을 무한히 만들어내는 작가는 자신의 작업을 "무의식적 수행"이라고 설명한다. "나는 아무것도 기대하지 않고, 아무것도 바라지 않기 때문에, 주어진 모든 것을 수용한다. [...] 내 무의식이 그것을 제안한다면, 그것은 반드시 옳다; 그리고 내 의식이 그것을 따라잡는 데는 시간이 걸린다.” 우연적 과정을 능동적으로 수용하는 대범하고 이상적인 태도인 셈이다. 

1936년에 태어나 올해 88세가 된 비알라는 작업 인생의 막바지에, 한지를 통해 또다시 우연을 유연하게 받아들였다. 2023년 3월 부산 조현화랑에서 연 개인전을 계기로 처음으로 한지 작업을 시도한 것이다. 한국 전통 매체인 한지에 찍힌 패턴이 선명하고 섬세하게 표면의 물성이 색채를 끌어들이는 만남의 순간을 표면에 드러냈다면, 이번 조현화랑 전시를 통해 소개되는 작품은 반복되는 패턴을 바탕으로 끊임없이 변화하면서도 잠정적인 조화를 구성하는 생명체의 유기적 형태를 더욱 강조한다. 새로운 세포를 표면 밖으로 밀어내며 자라나는 풀처럼, 물감과 물질 표면의 작용에서 일어나는 저항 또는 흡수가 즉각적이고 생동감 있는 존재를 긴장감 있게 빚어낸다. 다채로운 표면 위로 시각을 구성하며 구현되는 존재는 나선형 고리와 함께 순환의 의미와 무한한 시간을 단언한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유럽의 추상 회화가 막다른 벽에 다다랐다고 생각했던 클로드 비알라는 프랑스 남부의 석공들이 부엌에 칠할 때 스펀지를 반복해서 찍어 꽃 모양을 만드는 방식에서 영감을 받았다. 반복이라는 단순한 원리에 기초한 이 일반적이고 보편적이며 소박한 기술은 비알라가 1966년에 발견한 우연한 형태와 함께 지속적인 작업 과정으로 자리 잡았다. 캔버스 천, 양탄자, 텐트, 커튼 등 다양한 표면 위에 찍어내는 이 작업을 통해 비알라는 전통 회화의 표현과 매체를 전복시키는 당시의 전위적 미술 단체 ‘시포르/시르파스’의 활동에 참여했다. 

1970년대 프랑스 화단을 지배하던 추상 회화로부터 탈피하자고 주창한 전위적 미술 단체 ‘시포르/시르파스’는 지지체/표면이라는 뜻이다. 회화가 주는 모든 허상을 부정하며 회화 자체에 의미를 두었으며, 회화를 둘러싼 불순한 요소들을 제거하려는 노력으로 서명, 제작일자, 제목 등을 일체 포기했다. 비알라는 캔버스의 나무틀을 제거함으로써 기존 회화 매체에 대한 고정관념을 바꾸었으며, 산업용 타폴린 작업을 시작으로, 추상적 패턴을 끝없이 반복해 나갔다. 스텐실 기법을 사용해 다양한 색상과 표면에 재현되는 모티프를 통해 작품의 주제라는 개념을 없애고, 창조적 행위 자체에 대한 의미와 작품의 존재론적 지위를 탐구하는 작업을 오늘날까지 지속해 오고 있다. 

 

From July 11 to August 18, Johyun Gallery Seoul is pleased to present the latest solo exhibition from Claude Viallat, one of the greatest colorists of his generation. Known for his vibrant and repetitive abstract painting, the seminal French painter first exhibited with us in 2005. His next solo show with us was his large-scale retrospective in 2017, followed by his 2023 exhibition where he introduced his first paintings on hanji (Korean mulberry paper). This latest solo exhibition presents showcases 10 of Claude Viallat’s works, including his latest works.

 

Claude Viallat’s “idea was to give no meaning to the image other than that of the work that produced it.” Viallat's paintings, always anchored to a here and now, feature rows and columns of the signature ovoid shape, variously described as a dish-sponge, lima bean or even a small bone from the hands or feet. The artist describes the permeation of tone and hue into various surfaces, how paint seeps and diffuses into fortuitous encounters as unconscious practices. “Insofar as I expect nothing, wish for nothing, everything I do is good, on principle, since I do not will it, and since what is given to me must necessarily be accepted. [...] if my unconscious proposes it, it is necessarily right; and it takes time for my conscience to catch up with it.” It is a bold and effective attitude that willingly accepts and incorporates uncontrollable processes.

 

Born in 1936, Viallat celebrates his 88th year—well into his twilight years—in 2024, yet he remains open to coincidental encounters, namely with hanji. The March 2023 solo exhibition with Johyun Gallery Busan marked his first works on the surface of hanji. The patterns painted on the Korean traditional medium were clear and detailed; the surface was marked with distinct moments of encounter and imbibition. This year, the artist’s solo exhibition with Johyun Gallery further emphasizes the organic and changing nature of life, while maintaining harmony through the rhythm of patterns. Like grass that grows thanks to the internal pressure of water, pressing out its newly-formed cells, Viallat’s work responds to an internal thrust that constantly destabilizes and remodels its provisionally formed equilibria. The being embodied in the visual composition of the colorful works affirms what the artist himself describes as “numerous and spiralling”.

 

Claude Viallat seems himself as belonging to a generation that thought often about the end of painting and the concept of the last painting. Seeking a form that was neither decorative, figurative, geometric nor representative, the artist painted like the builders who stamped the walls of southern kitchens with a sponge. This simple and repetitive technique and the form of the sponge started in 1966, and soon became central to the artist’s practice, starting in 1966. Canvas, tarpaulin, carpet, stretch canvas, curtains, sails, and flysheets were among the various surfaces he printed on, as the champion of the avant garde movement of Supports/Surfaces that deconstructed the fundamental objecthood of painting.

 

Supports/Surfaces was a loosely knit collective that sought a radical break away from abstract painting, which dominated the French art circle during the 1970s. Viallat let go of all things that did not allow painting to be painting itself and relate only to itself. This included fixed concepts surrounding traditional painting media, such as signatures, production dates, and even titles of his works. Viallat even went so far as to remove the wooden frames from canvases to truly challenge the objecthood of painting. He utilized industrial tarpaulin and the stencil technique to produce endlessly repeating abstract patterns in various colors and surfaces. He utilized industrial tarpaulin and the stencil technique to produce endlessly repeating abstract patterns in various colors and surfaces—obviating the very concept of the subject. To this day, the artist continues to explore the creative act itself and the ontological status of pain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