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llections

박서보 (b. 1931 - 2023)  

단색화의 기수로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을 주도했던 박서보의 작업세계는 크게 가지 시기로 구분 지을 있다. 57년에서 60년대 중반까지의 원형질시대, 60년대 중반에서 70년까지의 유전질시대, 70년대 초반에서 80년대 후반으로 이어지는 묘법시대, 그리고 80년대 후반에서 현재까지의 후기 묘법시대이다. 묘법(猫法)이란 ʻ 그린 것처럼 긋는 방법이라고 풀이되며, 프랑스어 ‘Ecriture’ ʻ쓰기 의미를 지닌다. 제목과 같이 묘법은 선을 긋는 행위의 결과물이다. 캔버스를 물감으로 뒤덮고 그것이 마르기도 전에 연필로 선을 긋고, 물감으로 지워버리고, 다시 위에 선을 긋는 행위를 되풀이하는 과정과 결과가 바로 작품이다. 여러 겹의 축축한 한지를 미디움을 써서 캔버스에 정착시킨 , 표면을 다시 수성안료로 촉촉하게 만든 , 손이나 막대기로 수차례 긋는다. 손이나 막대기로 그어 내려간 한지 작품은 가까이서 보면 한지 특유의 질감이 자연스럽고 우연적으로 나타나 있다. 회화의 행위성이 끝나면서 작품도 끝난다는 서구의 방법론을 넘어 시간이 개입되면서 변화의 과정을 거친뒤에야 완성에 이른다는 동양 회화의 세계를 잘담아냈다. 작가는 랑앤 파운데이션, 화이트 큐브, 베니스 비엔날레, 삼성미술관 리움, 부산 시립미술관, 리버풀 테이트 갤러리, 뉴욕 브루클린 미술관, 등의 다수의 전시에 참여해왔다. 그의 작품은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 홍콩 M+ 미술관, 아부다비 구겐하임 미술관, 국립현대미술관, 도쿄 현대미술관과 같은 국내외 주요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이우환  (b.1936-)

이우환은 서울대학교 미술대학을 중퇴하고 일본으로 건너가 1961년에 니혼대학 문학부 철학과를 졸업하였다. 1968년부터 1975년 사이 일본 도쿄에서 전개된 모노파의 이론과 실천을 주도하며 주목받기 시작했고, 이후 모노파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한 인물로서 국제적 명성을 얻고 활발히 활동하고 있다. '점과 선의 대가'로 불리는 그의 초기 작품들은 점이 선이 되고 나아가서는 아무것도 아닐 수 있다는 동양 사상에 바탕을 두고 있다. 그의 작업은 ‘획’이 지닌 의미와 그려지지 않는 여백을 이해해야 한다. 획에는 무한한 순간 속에 정지한 듯, 고요한 가운데 움직이는 듯 정중동, 생동감, 기가 흐른다. 

파리비엔날레, 상파울루비엔날레, 카셀도큐멘타 권위 있는 국제전에 참여하여 호응을 얻었으며, 뒤셀도르프시립미술관, 루이지아나미술관, 밀라노 현대미술관, 일본 하라현대미술관, 가마쿠라근대미술관에서 대규모 개인전을 가졌다. 일본 나오시마에는 이우환 미술관이 설립되었다. 그의 작품은 파리 퐁피두미술관, 베를린국립미술관, 뉴욕 근대미술관, 도쿄 국립근대미술관, 서울 국립현대미술관, 호암미술관등 유수의 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다.

 

권대섭  (b. 1952)

권대섭의 백자는 ‘달항아리’라고 부르는 17세기 후반부터 18세기 사이 조선 왕조에서 왕성하게 제작된 자기의 형식과 제작방식을 충실히 따른다. 형태는 높이 40cm가 넘은 원형으로 유백색 혹은 설백색이라 칭하는 우윳빛이다. 재료 또한 입자가 곱고 불순물이 완전히 제거된 질좋은 고령토만을 사용한다. 원재료가 되는 흙의 선택부터 불온도를 끌어올리는 기술까지 조선시대 자기의 재료와 형태, 제작과정 계승하고 있으나, 그렇다고 조선의 백자를 마냥 답습하는 것은 아니며, 이에 뿌리를 둔채 자신만의 현대성을 시도하고 있다. 완벽한 비례를 거부하면서도 균형을 잃지않는 그의 백자의 어리숙해 보이는 형태에는 안정감과 편안함이 있다. 표면의 질감 또한 다채로워 어느 부분은 반질반질 윤이 아니고 어느 부분은 탁하고 뿌옇다. 작가는 자신의 작품이 ‘달항아리’라는 이름으로 규정되는 것을 경계한다. 조선시대의 달항아리와는 분명 다를뿐더러, 보름달의 이미지는 상상과 해석의 여지를 제한하기 때문이다. 

권대섭은 1952 서울에서 태어나 1978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서양화과를 졸업 우연히 인사동에서 백자를 본뒤 1979년부터 5년간 일본 규슈 오가사와라 도예몬에서 도자를 배웠다. 1995 덕원미술관에서 국내 전시를 열었다. 이후 서미앤투스 갤러리 (2009~2014), 악셀 베르보르트 갤러리 (2015,2018/벨기에), 박여숙화랑 (2019,2020)에서 개인전을 가졌다. 2009 디자인 마이애미와 이탈리아 밀라노 트리엔날레 (2013) 참여하였다. 서울미술관 (2014), 중국 마운틴 아트재단에서의 순회전시 (2014), 한불수교 130 주년을 기념하여 파리장식미술관 (2015)에서 그룹전을 했으며, 바이에른 국립 박물관(독일 뮌헨 2016), 아트 몬테 카를로(모나코 2016), 아트 제네바(스위스 2016), 도쿄긴자식스 갤러리(일본 2017) 등에서 다양한 전시를 했다. 1998 한국예술평론가협회 최우수 예술인으로 선정, 현재 리움 삼성미술관, 한국민속박물관, 기메 미술관(프랑스),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 박물관(러시아), 시카고인스티튜트오브아트(미국) 전세계 유수의 기관애 작품이 소장되어있다

 

정광호 (b.1959)

정광호 작가는 자신의 조각을 ʻ비조각적 조각(Non-sculptural sculpture)’이라 명명하고, 조각이 지닌 반대의 속성을 작품에 넣으면서도 그것이 여전히 조각 임을 증명하고자 한다. 꽃잎, 나뭇잎, 물고기, 항아리 등을 모티브로 조각의 특징인 물질감이나 양감을 제거하고, 가는 구리선을 통해 조각의 새로운 개념을 제시한다. 회화에서 가져온 선적 요소를 입체적 형태의 조각으로 표현함으로써 멀리서 바라볼 때는 공간 속에 존재하는 조각으로 인식되지만, 가까이 다가갈수록 작품 표면의 선들이 시선을 끈다. 외면과 내면의 구분 없이 투명한 표면의 형태를 그대로 드러내는 작품은 ʻ표면이란 곧 조각 본질의 껍질이자 현실’임을 보여준다.

작가는 1959년 대전에서 태어나 서울대학교 미술대학 조소과를 거쳐 동 대학원을 졸업했다.

현재 국립 공주대학교 예술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998 금호미술관, 같은해 네델란드의 100년의 역사를 가진 스테델릭 미술관에서 개인전을 개최했다. 2000 아트선재미술관(경주), 2003 갤러리 토마스(뮌헨,독일), 2006 뤼멘 갤러리(파리, 프랑스), 2007 캔버스 인터내셔널 아트갤러리(암스테르담, 네델란드) 국내뿐 아니라 유럽에서도 개인전을 선보였다. 주요 그룹 전으로는 ʻ시티 아시아(2003, 서울시립미술관)’, ʻ한국미술-여백의 발견(2007, 삼성미술관 리움)’, ʻ한국미술에서의 모더니티와 너머(2008, 싱가포르 미술관)’, ʻ (2011, 경기도미술관)’ 등이 있다. 그의 작품은 국립현대미술관, 대전시립미술관, 한림미술관, 선재미술관, 호암미술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이소연 (b.1971)

이소연 작가는 자신의 모습을 포함한 주변의 기억과 경험을 회화적 언어로 구성한다. 오랜 해외 생활 속에서 자신이 경험한 동질성과 이질성, 친밀함과 낯섦의 유동적 경계를 다중적 의미의 기호들로 치환하여 미묘한 연극적 분위기와 낯선 친밀함을 자아낸다. 증명 사진을 찍은 것 같은 독특한 자화상 시리즈는 작가의 삶의 기록과 시대적 초상을 단호한 형태와 색채로 명쾌하게 그려내고 있다. 이소연 작가는 71년생으로 국내에서 서양화를 전공하고 독일 뮌스터 쿤스트 아카데미에서 전공을 이어나가던 중, 뒤셀도르프의 NRW-포럼에서 주최하는 엠프라이즈 미술상 후보로 선정되었다. 이 계기로 작가는 독일 미술계에서 먼저 주목받기 시작하였고, 2005년에 라벤스부르크의 콜럼부스 예술재단과 연결되면서 ‘젊은 작가상'을 수상하였다. 2006년부터 이소연은 역사가 깊은 뒤셀도르프의 콘라드 갤러리와 전속계약을 체결 하면서 다수의 세계적인 아트페어에서 작품성을 인정 받았다. 쿤스트하우스에센, 조현화랑, 스페이스 K 에서 개인전을 선보였고, 경기도미술관, 세종문화회관, 암웨이미술관, 포항시립미술관, 갤러리 룩스 등의 주요 그룹전에 참가하였다. 현재 그의 작품은 도쿄 CB collection, 독일의 아헨바흐 아트컨설팅, 콜럼부스 예술재단, 스페인 마드리드의 t.VIS.t Communication 등에 소장되어 있다.

 

진 마이어슨 (b. 1972) 

추상과  구상을  넘나들며  역동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마이어슨  작가의  작품은  인간이  겪는  상실과  우울, 이주의  역사를 공유한다. 무작위 CG 시스템을 회화와 결합한 선구자로 2000년대 뉴욕의 추상회화의 새로운 부활에 기여했으며, 최근에는 LIDR 스캔, AR 오버레이 레트로 인과성(Retro causality) 활용하여 회화의 존재론적 의미 동시대성에 대한 탐구를 지속하고 있다. 마이어슨은 뉴욕의 Zach Feuer 갤러리를 포함해 파리와 홍콩의 갤러리 엠마누엘 페로탱, 런던의 사치 갤러리, 룩셈부르크의 Nordine Zidoun, 서울과 천안의 아라리오 갤러리, 서울과 상하이의 학고재 갤러리, 홍콩의 펄램 갤러리 등에서 개인전과 단체전에 참여했다. 그의 작품은 뉴욕의 솔로몬 R. 구겐하임 미술관, 런던의 사치 갤러리, 브뤼셀의 반헤렌츠 컬렉션, 로스 앤젤레스의 발렌타인 컬렉션, 마이애미의 크루즈 컬렉션, 뉴욕의 슈파이어가 컬렉션, 자카르타와 상하이의 유즈 재단, 도쿄의 다구치아트 컬렉션, 자카르타의 자카르타 현대 미술관, 방콕의 산삽 박물관 수많은 공공 개인 소장품에서 찾아볼 있다.

 

Park Seo-Bo (b. 1931 - 2023) 

Park Seo-Bo was a seminal figure in Korean contemporary art. He is one of the founding members of the Dansaekhwa movement, which emerged in the early 1970s post-war Korea and has since gained international recognition. In the late 1960s, Park began the ‘Ecriture’ series by repeating pencil lines over wet monochromatic painted surfaces. Later, he expanded the languag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hanji (traditional Korean paper) and color. The work is brought into being through the process of repetitive actions of pasting, scraping, scratching, and rubbing. It delicately balances drawing and painting in a quest for emptiness through reduction. Park’s work has been exhibited internationally, including: Museum of Fine Art, Boston; the Venice Biennale; Samsung Museum of Art, Seoul; Singapore Art Museum; Kunsthalle Wien, Vienna; Tate Liverpool, UK; Brooklyn Museum, New York; and Expo 67, Montreal. Park’s work is included in the collections of the Solomon R. Guggenheim Museum, New York; M+, Hong Kong; Guggenheim Abu Dhabi, UAE; The National Museum of Contemporary Art, Seoul; and the K20, Kunstsammlung Nordrhein-Westfalen, Düsseldorf.

 

Kwon Dae Sup (b. 1952)

Kwon Dae-sup's white porcelain (baekja) faithfully reproduces the moon jars (dalhangari) that were produced during the late Joseon Dynasty, spanning the latter half of the 17th century and well into the 18th century. The rotund jar stands just above 40cm, its creamy white, rich. The porcelain clay is made of the finest sediments, high-quality kaolin impurities completely removed. From the choice of raw clay to the techniques of achieving kiln temperature, Kwon has inherited the essence, form, and techniques of the Joseon Dynasty's royal pottery. However, this is not to suggest that he replicates rediscovered techniques. Instead, he anchors the Moon Jars firmly in traditional culture while embracing modernity in his own unique manner. Kwon’s moon jar hemispheres are slightly deformed-yet-balanced. The unassumingly naivety of the misaligned hemisphere offers a certain solace, a stability. The texture of the surface is also varied.  Kwon is wary of his work being tagged as moon jars (dalhangari). The moon jars of the Joseon era were clearly not the same as his creations, and an attachment to the full moon may only limit interpretation and imagination. 

Kwon Dae-sup was born in Seoul in 1952 and graduated from Hongik University's Department of Art in 1978. After seeing white porcelain in Insadong, he studied pottery at Nabeshima in Kyushu for five years starting in 1979. In 1995, he held the first domestic exhibition at the Deokwon Art Museum. After that, he held the solo exhibitions at the Seomi & Tuus Gallery (2009-2014), the Axel Vervoordt Gallery (2015, 2018 Belgium), and the Park Ryu Sook Gallery (2019, 2020). In 2009, he participated in Design Miami and Triennale di Milano (2013). He held group exhibitions at the Seoul Museum of Art, Mountain Art Foundation (2014), and the Paris Ornamental Museum (2015), and various exhibitions at the Bavarian National Museum (Monaco 2016), Art Geneva (Swiss 2016), and Ginza Six Gallery (Japan 2017). He was named the best artist of the Korea Art Critics Association in 1998. Also, some of his works own by the the Leeum Samsung Museum, the Korean Folk Museum, the Guimet Museum (France), the Russia National Museum, St. Petersburg, (Russia), and the Chicago Institute of Art (USA).

 

Jung Kwang Ho (b.1959)

Jung Kwang Ho, who aims to weave between painting and sculpture, desires to explore the essence and interpretation of sculpture in particular. A sculpture is a tangible representation of an image manifested by the sculptor using materials, techniques, and tools to create a specific object in a particular way. Jung oxymoronically refers to his works as "non-sculptural sculptures," as he works with non-sculptural properties to create essentially sculptural works. The paradoxical expression is part of how he explores the essence of sculpture. The artist made no distinction between inside and outside, instead exposing the surface and penetrating through to suggest that surfaces are merely the superficial layer of sculptural essence and the surface of reality.

Jung presented solo exhibitions in various museums worldwide, including the Stedelijk Museum in Amsterdam, Art Sonje Museum in Gyeongju, Kumho Art Museum in Seoul, Gallery Thomas in Munich, Lumen Gallery in Paris, and Canvas International Art Gallery in Amsterdam. He also participated in significant group exhibitions at institutions such as the Seoul Museum of Art, Samsung Museum of Art Leeum, Singapore Art Museum, and Gyeonggi Museum of Art. His works are held in various collections, including the National Museum of Modern and Contemporary Art, Daejeon Museum of Art, Hanlim Museum of Art, Sonje Museum of Contemporary Art, and Ho-Am Art Museum.

 

Lee So Yeon (b.1971)

Lee So Yeon's self-portraits, reminiscent of identification photos, vividly depict snapshots of her life's journey and the epochs she has navigated. Depicted with bold forms and luminous hues, the objects laden with multiple meanings evoke a subtle theatrical atmosphere and an unusual intimacy. It weaves together elements of similarity and contrast, delicately balancing between closeness and estrangement. Lee So Yeun majored in Western painting in South Korea and continued her studies at the Münster Kunst Academy in Germany. Her nomination for Düsseldorf's "Emprise Art Prize" catalysed her recognition within the German art sector. By 2005, she earned the "Young Artist Award" from the Columbus Art Foundation in Ravensburg. From 2006, she collaborated exclusively with Düsseldorf's esteemed Conrad Gallery, achieving international acclaim at renowned art fairs including the Cologne Art Colony in Germany, Show Off in Paris, ARCO in Madrid, and Scope and Pulse Art Fairs in New York. She has showcased solo exhibitions at Kunsthaus Essen (2014), Johyun Gallery (2014), and Space K (2013). She also participated in notable group exhibitions at the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2018), Sejong Centre (2017), Amway Museum (2016), Pohang Museum of Steel Art (2015), and Gallery Lux (2015). Currently, her works are part of collections at TCB collection in Japan, Achenbach Art Consulting in Germany, the Columbus Foundation, and t.VIS.t Communication in Madrid, Spain.

 

Jin Meyerson (b. 1972) 

Jin Meyerson, is recognized for his contributions to the revival of figurative painting in the early 2000’s in NYC where he began his career. A pioneer of early randomization CG systems in concert with painting, his work bridges figuration and abstraction by engaging with issues of displacement, loss of heritage, post-colonialism, and the expansive Korean diaspora. His recent work employ LIDR scans, AR overlays and ideas of retro causality, as source and origin on his longstanding investigation of meaning and contemporaneity in painting. His paintings have been featured in extensive solo and group exhibitions globally, including: The 2022 Venice Biennale; Gallery2 + Johyun Gallery, Seoul + Busan; Mwoods Museum, Beijing; Zach Feuer Gallery, NYC; Galerie Emmanuel Perrotin, Paris and Hong Kong; The Saatchi Gallery London; Galerie Nordine Zidoun, Luxembourg; Arario Gallery, Seoul and Cheonan, Hakgojae Gallery Seoul and Shanghai, and Pearl Lam Gallery HK. His work can be found in numerous public and private collections, including: the Solomon R. Guggenheim Museum, New York; The Saatchi Collection, London; Vanhaerents Art Collection, Brussels; Dean Valentine Collection, Los Angeles; the de la Cruz Collection, Miami; the Speyer Family Collection, New York; the Yuz Foundation, Jakarta and Shanghai.